미국간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미국간호사 전망

미국의 간호사 전망은 참 밝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에서 선정한 10년 내 유망 직종 중 간호사가 13위에 선정되었고, 미국 U.S. News Report의 최고의 직업에는 전문간호사(NP)가 5위에, 간호사(RN)이 13위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2020년 기준) 이처럼 미국 간호사라는 직업은 사회적 인지도, 연봉, 직업의 만족도 및 성취도가 높은 직업군에 속합니다. 또한, 다른 국가에 비해 미국의 간호사 대우는 최상위급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베이비붐 세대의 나이 든 간호사들이 하나둘씩 은퇴를 함에 따라 미국 간호사의 수요는 점점 더 필요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미국간호사가 되려면?

미국간호사가 되기 위해선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요?

첫 번째는 미국 간호사 자격증인데, 우리가 흔히 NCLEX 엔클렉스 라이센스라고 부릅니다. 많은 한국 간호사분들이 뉴욕 라이센스를 먼저 취득하게 되는데 이는 영어점수나 SSN(미국 사회 보장 번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간호 학위가 필요한데, 3년제 졸업자분들께서도 4년제를 나오지 않아도 미국 간호사의 취업이민 수속은 진행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영어 회화 능력이고, 네 번째는 임상 경력인데 임상 경력이 단절되신 분들도 있을 것이고, 지금까지 경력을 유지하고 있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갓 대학을 졸업한 후 경력이 전혀 없는 무경력자 분들도 계실 텐데 경력 유무에 상관없이 취업이민 수속은 진행 가능하답니다. 마지막으로는 비자스크린(Visa Screen) 증서인데 해당 증서는 CGFNS라는 기관에서 반드시 아이엘츠나 토플의 영어 점수의 인증을 거치셔야 합니다. 필요한 성적은 아이엘츠(아카데믹) 오버롤 6.5점과 스피킹 7.0점 or 토플 오버롤 83점과 스피킹 26점이고 오버롤과 스피킹 점수는 각각 다른 성적표에 나온 성적들을 합치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 부수적으로 BLS나 ACLS 같은 자격증이 필요하며, 미국 출국 전까지만 취득하시면 된답니다.

 

미국간호사 수속 과정

미국 간호사 영주권 수속을 진행하게 되면 제일 처음으로 Pre-Interview를 통한 고용주 인터뷰 트레이닝을 진행하게 됩니다. 두 번째로는 미국 고용주와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는데 토마스앤앰코의 인터뷰 트레이닝 절차를 거친다면 인터뷰에 떨어지실 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ㅎㅎ 이후 고용주 인터뷰에 합격을 하게 되면 미국 고용주와 정식 고용계약을 체결 후 이민 수속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자 여기서 잠깐! 보통 미국의 영주권을 받기 위한 미국의 취업이민 시스템은 항상 노동부를 거쳐 노동 승인을 받고 이민 신청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요, 간호사는 미국의 부족 직군에 속하기 때문에 노동 허가 신청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어서 간호사의 수속 기간은 상당히 짧다고 볼 수 있습니다. I-140(이민 청원) 접수 후 승인을 받으면 미국의 국무부로 케이스가 이관이 되고, NVC를 거쳐 주한 미국 대사관에 방문하여 영사와 인터뷰를 보시게 됩니다. 인터뷰 후 비자를 수령하면 신체검사를 받은 날로부터 6개월 안에 출국하셔야 하고 미국에서 SSN이 발급되면 실제 근무하게 될 병원과의 인터뷰가 진행됩니다. 그리고 이민 수속을 진행하는 사이, 여러분들 중에 뉴욕으로 취업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상관없지만 캘리포니아라든지 다른 주로 취업을 원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면허를 이전해야 합니다.

​이 전체의 과정은 현재 약 3년이 소요되는데, 물론 오늘은 3년 과정이라고 이야기 드리지만 다음엔 1년이 소요된다고 말씀드릴 수도 있습니다. 이는 미국 이민국의 시스템의 수속 과정에 항상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항상 매달 발표되는 영주권 문호를 주시하셔야 합니다.

 

 

미국병원 취업,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보통 미국 종합 병원 취업을 위해서는 한국 종합병원에서 최소 2년 이상의 임상 경력을 보유하고 계셔야 합니다. 만약 임상 경력이 없는 경우라면 미국의 널싱홈 취업도 가능합니다. 혹자들은 무조건 미국 취업 이민을 위해 2년 이상의 경력을 쌓아야 한다고 말하는데 한국에서 일하기 싫고, 미국은 빨리 가고 싶은 분들이 ‘미국 취업을 위해 2년 이상의 임상 경력을 채운다?’ 글쎄요… 저희가 봤을 때는 여러분들이 처해져 있는 상황에서 미국으로 진출을 할 때 경력이 없으면 널싱홈에 스타트, 경력이 있다면 현재의 경력을 유지하며 미국 종합 병원에 해당 파트 그대로 취업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두 번째로는 항상 많은 분들이 이야기하시는 영어회화 실력이죠. 영어는 널싱홈에 가든 병원에 가든 정말 절대적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 의사소통이 돼야만이 미국 병원이든 널싱홈이든 근무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이죠. 한국에서 이민 비자를 받고 미국으로 출발하시기 전에 드는 불안감은 아마 이럴 것입니다. ‘내가 미국 병원에서 잘 서바이벌 하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은 영어만! 잘하신다면 안 하셔도 될 것입니다. 병원 트레이닝 기간에 모르는 부분을 얼마든지 프리셉터에게 물어볼 수 있고, 미국 병원에서 근무 환경이 한국과 달라서 초기에 적응하기 어려울 순 있지만 한국 병원에서 버티셨다면 미국 병원 근무 생활도 어렵지 않으실 테니까 말이죠.

​그리고 BSN 취득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BSN에 대해 많이 물어보시는데 사실 미국은 아직까지도 2년제를 졸업한 뒤에 간호사가 되는 사람이 있듯이 한국에서 3년제를 졸업한 분들이 계신데, 지금 이분들이 미국 취업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미국에선 BSN 취득자들에 대한 선호 현상이 생기고 있고, 특히 대형병원에서 BSN 학위를 보유하지 않은 간호사들은 아예 인터뷰 자체도 보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BSN 학위가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3년제 졸업자분들은 미국 출국 전 독학사나 방통대 등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든 4년제 학사학위를 가지고 계신다면 취업에 조금 더 유리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고, 토마스앤앰코는 이런 BSN 취득에 대한 방안으로 미국 알칸소 주립대학교 RN-BSN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가지 않고도 한국에서 정식 미국 BSN을 취득할 수 있고, 특히 온라인 수업에 대한 표기가 졸업장에 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미국 BSN 학위를 보유하신다면 미국 병원 취업과 추후 미국 대학원 진학엔 분명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미국 병원 면접 예시

많은 간호사분들로부터 ‘제가 어떠한 파트에 있어야 취업에 유리할까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어떠한 파트가 가장 좋을지에 대해선 여러분들께 쉽게 설명을 드려볼게요. 미국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파트는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파트’입니다. 흔히 내과나 외과 병동 Med/Surg 파트 라고도 부르는데 미국 경력이 없는 경우 첫 취업에 유리한 파트는 병동 경력을 많이 보유하고 계신 분들입니다. 이 외에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수술실 등이 있는데 특히 중환자실이나 응급실 간호사는 코로나 사태로 정신없는 미국에서 높은 페이를 부르고 무조건 데려갈 정도로 희귀한 정도가 되었으니 말이죠.

​그래서 지금 여러분들께서 미국 취업에 유리한 파트에 대해 선택 및 고민하신다면 일반 내/외과 병동이나 중환자실에서 일을 하시는 것이 좋 한 가지 주의하실 점은 경력이 절대 조각나선 안됩니다. 한 가지 예를 드리겠습니다. A 간호사는 한 병원에서 ICU 파트의 3년 경력을 이어서 보유하고 있고, 한 간호사는 혈액종양내과 1년, ICU 1년, OR 1년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영어 회화 실력 비등 조건) 두 간호사가 함께 병원의 인터뷰를 보고 한 간호사만 채용을 할 경우 A 간호사가 합격을 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B 간호사가 경력이 다양해서 더 선호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미국 병원에서 원하는 간호사의 기준은 한 병원/파트에서 오랫동안 전문적인 경험과 지식을 쌓은 숙련된 간호사입니다.

​또 한 가지, 이런 질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 내가 A 병원 ICU 1년, B 병원 ICU 1년, C 병원 ICU 1년의 경력을 쌓았다면 어떨까요? 단점은 병원을 자주 이직했다는 것이 될 수 있지만 같은 ICU 파트로 3년을 계셨기 때문에 파트가 조각나있는 것보단 훨씬 나을 수 있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미국 병원 취업을 위해서는 한 병원 및 파트에서 최소 2년 이상 경력을 쌓아 주셔야 한다는 게 결론입니다.

 

Scroll to Top